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서버 점검 공지
|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maimai 시리즈
(r3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노트의 종류 === ||<tablebgcolor=transparent><tablealign=center>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linear-gradient(to bottom, #F5C0EA, #E31A55, #F5C0EA)" '''⭕'''}}}}}}}}} ||'''탭 노트'''[br]아무런 특징이 없는 원형 노트. 라인에 닿았을 때 해당하는 버튼이나 라인 주변의 터치 패널을 누르면 처리할 수 있다. || || {{{+5 {{{+5 {{{+2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linear-gradient(to bottom, #F5C0EA, #E31A55, #F5C0EA)" '''⬡'''}}}}}}}}}}}} ||'''홀드 노트'''[br]노트가 라인에 닿았을 때부터 끝까지 계속 누르고 있으면 된다. Finale까지는 노트의 끝에도 판정이 있어 제 시간에 손을 떼지 않으면 LATE GOOD으로 처리되었으나 DX부터는 뗄 필요 없이 계속 누르고만 있어도 된다. GREEN PLUS부터 탭 노트와 구분하기 쉽도록 육각형으로 바뀌었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radial-gradient(#9EF2FB, #1899ED, #1899ED)" '''☆'''}}}}}}}}} ||'''슬라이드 노트'''[br]별이 판정선 가까이 왔을 때 처리한 후 '''한 박자 뒤에''' 패널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대로 슬라이드 하면 된다. 별 노트 따로, 슬라이드 화살표 따로 판정되며 슬라이드 부분은 탭 노트보다 배점이 '''3배''' 높다. 따라서 슬라이드에서 GREAT이나 GOOD 판정을 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. 대신 판정이 맨 끝 부분에만 있고 기준도 넉넉하기 때문에 앞만 미리 긋고 나중에 처리하는 등의 트릭도 존재한다.[br][br]슬라이드의 출발 시간은 곡의 BPM에 따라 달라진다. 이 출발 대기 시간 사이에 노트들을 끼워넣게 되면 출발 타이밍을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난이도 상승의 주범이다. 이러한 특성 때문에 BPM이 높은 곡들은 체력을 요구하고, BPM이 낮은 곡들은 암기를 요구한다. 한 곡 내에서도 슬라이드마다 속도가 달라 끝내는 타이밍이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것. STAR ROTATION 옵션을 끄지 않았다면 별 노트가 얼마나 빨리 회전하느냐로 속도를 알 수 있다.[br][br]부채꼴 모양의 큰 슬라이드도 있는데 메커니즘상으로는 슬라이드 3개와 동일하므로 양 손으로 슬라이드를 쓸어내리면 된다. 미리 두 슬라이드 부분을 처리해두고 나머지 하나만을 타이밍 맞추어 나중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. 점수는 일반적인 슬라이드 점수와 동일하다. 또한 시작 구간은 하나인데 두 방향으로 갈라지는 슬라이드도 존재한다. 이 경우 시작점 노트는 별 2개가 겹쳐진 모양으로 등장한다.[br][br]참고로 내부적으로는 탭과 슬라이드가 별개의 노트이며 일부 연회장 채보에는 탭 없는 슬라이드나 슬라이드 없는 탭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radial-gradient(#1899ED, #9EF2FB, #1899ED)" '''⛝'''}}}}}}}}} ||'''터치 노트'''[br]디럭스 채보에만 존재하며 표적이 정 중앙에 모였을 때 해당하는 패널을 터치하면 된다. FAST 판정이 없어 너무 일찍 누르면 MISS가 뜨는 대신 LATE 판정이 상당히 여유로우며, BASIC, ADVANCED 난이도의 경우 터치 노트가 더 크게 등장한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conic-gradient(#FD0100 25%, #3DB546 24%, #3DB546 50%, #FEDD02 49%, #FEDD02 75%, #00A2EC 0%)" '''◆'''}}}}}}}}} ||'''터치 홀드 노트'''[br]주위 게이지가 꽉 찰 때까지 누르고 있으면 된다. 카운트는 홀드 노트와 통합되며 점수 역시 일반적인 홀드 노트와 동일하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linear-gradient(to bottom, #FFDC00, #FF1516, #FFDC00)" '''⭕'''}}}}}}}}} ||'''브레이크 노트'''[br]위의 노트들과 형태는 동일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지만 배정된 점수가 매우 높은 노트. 이 노트는 '''CRITICAL PERFECT'''와 '''PERFECT'''를 구분하여 점수를 달리 주므로 높은 달성률을 위해서라면 최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노트. 같은 판정 내에도 세부 판정(약 1프레임, 16ms 가량)이 존재하여 브레이크 노트를 얼마나 정확하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점수가 달라진다. 세부 판정 결과 창에서는 TAP, HOLD, SLIDE가 아닌 '''BREAK'''라는 항목으로 따로 계산된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linear-gradient(to bottom, #FFFF00, #EACF39, #FFFF00)" '''⭕'''}}}}}}}}} ||'''이치 노트'''[br]브레이크 노트를 제외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노트를 입력해야 할 때는 노란색으로 등장한다. 처리 방법은 각 노트의 처리 방법을 따른다. || || {{{+5 {{{+5 {{{#!wiki style=""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color: transparent; background: text linear-gradient(to bottom, #F5C0EA, #E31A55, #F5C0EA)" {{{#!html <span style="text-shadow: 0 0 8px #FFFFDD;"><b>⭕</b></span>}}}}}}}}}}}}}}} ||'''EX 노트'''[br]입력에 성공했다면 타이밍과 관계 없이 무조건 CRITICAL PERFECT 판정이 나오는 노트. 슬라이드의 슬라이드 부분을 제외한 모든 노트에 종종 등장하며 초심자가 해당 패턴을 수월하게 넘길 수 있게 해준다. 당연히 이 노트도 아예 놓치게 되면 MISS로 처리된다. ||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